AI, 도대체 뭐부터 알아야 할까요?
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
꼭 필요한 기초 개념만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.
AI는 결코 어렵지 않아요!
목차
- AI와 머신러닝, 딥러닝의 차이
- 생성형 AI란 무엇인가?
- 프롬프트란 무엇인가요?
- AI 학습 방식 이해하기
- 데이터셋과 알고리즘
- AI의 한계와 윤리적 이슈
- 실제 생활 속 AI 예시
1. AI와 머신러닝, 딥러닝의 차이
- AI (인공지능): 인간처럼 사고하고 판단하는 기술
- 머신러닝 (기계학습):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스스로 학습하는 과정
- 딥러닝 (심층학습): 뇌의 신경망을 본뜬 구조로 더 복잡한 문제 해결 가능
쉽게 말하면:
AI ⊃ 머신러닝 ⊃ 딥러닝
2. 생성형 AI란 무엇인가?
생성형 AI(Generative AI)는 사람처럼 '무언가를 만들어내는' AI입니다.
예:
- 텍스트 생성 (ChatGPT)
- 이미지 생성 (DALL·E, Midjourney)
- 음악 생성, 영상 합성 등도 가능
GPT, LLM, Diffusion 모델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.
3. 프롬프트란 무엇인가요?
프롬프트(prompt)는 AI에게 주는 ‘지시문’입니다.
예:
“한글로 자기소개 3 문장 만들어줘”
이처럼 프롬프트에 따라 결과물이 완전히 달라지며, 핵심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쓰는 것입니다.
프롬프트 작성 팁:
- 명사보다 동사 중심
- 간결하게
- 원하는 스타일/결과 명시
4. AI 학습 방식 이해하기
AI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학습합니다.
✅ 지도학습 (Supervised Learning): 정답을 알려주며 학습
✅ 비지도학습 (Unsupervised Learning): 정답 없이 패턴을 스스로 찾아냄
최근엔 강화학습(RL), 자기 지도학습(Self-supervised)도 자주 활용돼요.
5. 데이터셋과 알고리즘
- 데이터셋: AI가 학습하는 자료 (예: 뉴스 기사, 이미지 모음 등)
- 알고리즘: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찾는 공식이나 절차
→ 데이터를 얼마나 잘 가공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.
예: ChatGPT는 수십억 개의 문서와 대화를 학습한 LLM(대규모 언어모델)이에요.
6. AI의 한계와 윤리적 이슈
AI가 다 맞는 건 아닙니다!
❌ 허위 정보 생성
❌ 편향된 결과
❌ 초상권/저작권 이슈
윤리적 사용 원칙:
- 사실 검증 필수
- 사용 목적과 범위 명확히
- 개인 정보/초상 보호
7. 실제 생활 속 AI 예시
- 스마트폰 음성 인식 – Siri, Google Assistant
- 상품 추천 – 쿠팡, 네이버 쇼핑
- 이미지 생성 – Canva, Midjourney
- 고객상담 챗봇 – 은행, 병원, 쇼핑몰
- 콘텐츠 작성 – ChatGPT, Notion AI
이미 우리는 AI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
자주 묻는 질문
Q1. AI를 꼭 배워야 하나요?
직접 개발하지 않더라도, AI를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은 앞으로의 필수 역량입니다.
Q2. 프롬프트 작성이 어려운데,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예시를 많이 보고 따라 써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.
간단한 질문부터 시작해 보세요!
Q3. AI가 말하는 건 다 믿어도 되나요?
아니요! 정보는 검증해야 하며,
특히 팩트 기반 내용은 반드시 확인 후 사용하세요.
Q4. AI로 만든 콘텐츠는 내가 저작권을 갖나요?
툴마다 다릅니다.
일부는 사용자에게 사용권을 주지만, 라이선스를 꼭 확인하세요.
Q5. AI를 처음 배우려면 뭘 먼저 해야 할까요?
기초 개념 → 프롬프트 작성 연습 → AI 툴 체험 순서로 차근차근 진행하면 됩니다.
AI를 이해하는 건 더 이상 개발자만의 일이 아니에요.
저도 처음엔 '너무 어려워 보인다' 생각했지만,
지금은 업무도 취미도 AI 덕분에 더 즐거워졌어요.
'AI, 홈페이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I 시작 전, 꼭 알아야 할 5가지 포인트 (3) | 2025.07.10 |
---|---|
AI를 처음 배우는 사람을 위한 실전 가이드 (4) | 2025.07.09 |
지금 시작하는 AI, 초보자 가이드 2025 (2) | 2025.07.07 |
AI 캐릭터 툴 비교: 어떤 게 제일 좋을까? (2) | 2025.07.06 |
나만의 캐릭터 프로필 이미지 만들기 (3) | 2025.07.05 |